본문 바로가기

유통관리사2급

유통관리사 2급 [상권의 경계 및 유형]

나는 왜 이렇게 상권분석이 어려운걸까....

xxx의 xxx법칙 하....

진짜 계속 틀린 문제만 틀린다...

아무리 외워도 머릿속에 들어오질 않는다ㅠㅠ

이걸 외워야 한 문제라도 맞혀서 커트라인 안에 들어갈텐데 하....

진짜 경영이나 마케팅 전공자들과 유통관리사 한 번에 합격하신 분들 대단하다고 생각됨...ㅎㅎ

재수생으로써 조금 부끄럽다;;;;

자, 다시 열심모드로 돌아가서 오늘은 정리하는 날로 정하고 열심히 해보자!!

 

1. 상권의 경계와 계층성

- 지역 > 지구 > 지점 순

1) 지역상권(GTA; General Trading Area)

- 가장 포괄적인 상권범위로 시, 군을 포함하는 넓은 지역의 범위를 의미

- 도시간의 흡인 범위가 성립하는 범위로 주로 지방 중소도시가 해당

2) 지구상권(DTA; District Trading Area)

- 집적된 상업시설이 갖는 상권범위로 군을 포함하는 범위

3) 지점상권(ITA; Individual Trading Area)

- 점포의 후보입지가 가지는 상권으로 지역상권과 지구상권 내의 개별점포들은 각각의 점포 상권을 형성

- 개별점포상권이라고도 함

 

2. 설정거리 및 흡인율에 따른 상권의 유형

간략하게 그림으로 나타내자면 아래와 같다.

1) 1차상권 (Primary Trading Area)

- 점포를 기준으로 반경 500m 이내 지역으로 즉, 직경 1km 이내의 지역을 의미

- 전체 점포 고객의 50-70%를 흡인하는 지역

- 고객이 지리적으로 밀집되어 분포하고 있는 곳으로 고객 1인당 매출액이 가장 높은 곳

2) 2차상권 (Secondary Trading Area)

- 1차 상권 외곽에 위치하며 1차 상권보다 고객이 지역적으로 넓게 분포되어 있음

- 전체 점포 이용 고객의 20-25%를 흡인하는 지역

3) 3차상권 (Fringe Trading Area)

- 한계상권이라고도 함

- 2차 상권 외곽을 둘러싼 지역범위로 2차 상권에 포함되지 않은 나머지 고객을 흡인 (약 5-10%)

- 점포 이용 고객은 점포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하며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있다는 것이 특징

 

3. 권역별 분류에 따른 상권의 종류

1) 근린형

- 소비자의 주거 지역 인근에 입지하여 주민들의 생활 편익을 제공하는 지역 밀착형 상권

- 일용품점, 학원 등의 서비스 업종이 밀집형태보다 독립형태로 입점

2) 지역, 지구형

- 주거지에서 다소 떨어져 있으며 선호상품이나 서비스를 취급하는 상업지

- 지구중심형 상권은 반경 1km이내의 생활권을 범위로 함

3) 중심형

- 번화가형 상권으로 주거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음

- 일반상품, 외식업, 오락, 유흥 등 여러 업종이 복합적으로 입점

- 도심형과 부도심형으로 구분

  ⓐ 도심형 : 상업과 업무 기능이 잘 발달된 상업구역

                     중심상업지구(CBD; Central Business District)가 속하며 금융, 쇼핑, 공공기관 등 밀집되어 있음

ⓑ 부도심형 : 도심의 역할을 하게 만드는 곳으로 주로 근린(동네)에서 구매할 수 없는 상품을 취급

                      도심지보다 규모가 작지만 도심에 비해 중소규모 상업시설, 업무시설 등이 상업적 기능을 수행하는 공간

                      주로 역사를 중심으로 식당, 패스트푸드, 학원, 병원 등의 업종이 주로 이루어짐

                      성업시간이 대체적으로 일정하지만, 성업시간 전후로 영업이 한산한 것이 특징

 

4. 유동인구에 따른 분류

1) 번화가 상권 : 유동인구가 많은 것이 특징 (홍대, 명동 등)

2) 역세권 상권 : 서울역, 고속터미널역 등 역을 중심으로 발달된 상권

3) 대학가 상권 : 이대, 신촌 등 대학가 중심으로 발달된 상권

4) 특화 상권 : 가구거리, 용산전자상가 등 특정 제품을 취급하는 점포가 모여있는 상권

 

5. 경쟁정도에 따른 분류

1) 포화상권(점포적정지역)

- 소매점의 포화 상태인 상권

- 기존 점포 시설이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욕구에 잘 적응하고 있는 상태

- 고객에게 우수한 상품과 서비스 제공

- 경쟁소매업체들이 이익을 만히 남길 수 있도록 해 주기 때문에 소매 업체들은 이 지역 상권이 매력적이라고 생각

2) 과소상권(점포부족지역)

- 시장의 점포수가 너무 적어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상권

- 점포수가 적어 점포당 평균 이익률이 매우 높음

3) 과다상권(점포과밀지역)

- 과잉 점포 상태에 있는 상권으로 점포수가 너무 많아 공정한 투자 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 시장 상황

- 점포의 일부가 도산 및 시장에서 퇴출되기도 함

- 독점-완전 경쟁

4) 과점상권(과점-독점적 경쟁)

-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를 몇 개의 점포가 과점하여 판매하고 있는 상권

- 가격 단합 등의 불공정 진입장벽이 특징

- 과점상태라고해서 다른 점포들이 폐점하거나 신규 진입이 불가한 상태는 아님

 

6. 공간균배 원리에 의한 분류

- 하나의 상권에 동질적인 소비자가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고 가정했을 때 한 점포가 먼저 입지하고 새로운 점포가 입지할 때 어느 위치에 입점하는 것이 유리한가 분석하는 것

- 경쟁 점포들은 상호 경쟁을 통해 공간을 서로 균등히 분배해 입지한다는 이론

- 공간 이동에 따라서 교통비가 수요에 영향을 주어 매상고에 영향을 끼침

- 공간균배원리의 4가지

  ① 집심성점포 : 배후지의 중심부에 입지하여 재화의 도달범위가 긴 상품을 주로 취급

                            백화점, 고급음식점, 고급의류점, 대형서점, 영화관, 귀금속점 등

  ② 집재성점포(넬슨의 누적적흡인력과 연관) : 동일 상권 내에 동일한 업종이 한 곳에 모여 입지해야 유리

                            은행, 보험회사, 가전제품, 중고서점, 가구점, 기계점 등

                            ex) 신중동역에 삼성스토어 길 건너 LG전자, 그 옆에 하이마트 등이 모여 있음

  ③ 산재성점포 : 동일 상권 혹은 다른 상권으로 서로 분산 입지해야 유리

                            약국, 이발소, 세탁소, 목욕탕, 잡화점 등

  ④ 국부적 집중성점포 : 일정한 지역에 동종업종끼리 국부적 중심지에 입지하고 있어야 유리

                                        농기구점, 비료점, 석재점, 어구점, 종묘점 등

 

집심성과 집재성이 좀 헷갈리긴한데 어떤 점포들이 주로 입점하는지 예를 생각하면 쉬움!

모두 화이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