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통관리사2급

유통관리사 2급 [상권조사 방법과 분석]

상권조사만 제대로 공부해도 두 세문제는 거뜬히 맞을 수 있는 시험인데..

어렵다...

정리를 하면서도 내 스스로 정리가 안되는 이 기분은 무엇일까...하하하하;;;

졸리지만 열심히 적어보자.

언젠간 내 것이 되겠지.

상권분석 아자아자~~!!

 

1. 상권조사

- 유동인구 조사

- 고객층과 시간대별 통행량 조사

- 내점률 조사

- 경쟁점 및 경쟁업종 조사

- 배루지 인구 특성 파악 등

 

2. 상권조사 방법

1) 1차자료 (Primary Data)

    - 직접적으로 조사하여 수집한 자료로서 2차 자료 분석 후에 이루어짐

    - 관찰법(탐색조사), 질문조사법(설문조사), 실험법(인과조사)

    - 비용면 : 1차 > 2차

    - 신송성 : 1차 < 2차 (1차 자료에서 모은 정보들을 2차자료는 검색해서 쓰기만 하면되기 때문)

 

2) 2차자료 (Secondary Data)

   - 일반적으로 상권 조사할 때 가장 먼저 시작

      → 인터넷 검색, 인구통계학 자료, 세무자료 등 인터넷 정보 등을 기반으로 함

   - 다른 목적에 의해 수집된 정보이기 때문에 목적에 맞게 보완 및 수정이 이루어져야 함

 

3. 상권조사 절차

상권에 대한 2차적 지역정보 수집 → 지역 상권에 대한 상권 지도 작성 → 상권 내 지역에 대한 관찰 조사 → 직접 방문에 의한 정성(질적) 조사 및 정량(양적) 조사 실시

 

4. 표본조사와 전수조사

 ① 표본조사 (Sample Survey)

     - 표집의 추출은 관찰 대상을 선정하는 과정

     - 조사 대상자 중 일부만 추출하여 조사

     - 모집단을 정의하고 표본의 수를 결정한 후에 표본을 추출하는 방식

     - 모집단의 특성을 그대로 가지는 대표성 높은 표본 선정이 관건

     - 오늘날 대부분의 조사는 표본조사에 의해 이루어짐

     - 모집단은 관심의 대상인 모든 조사 단위들의 집합

     -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② 전수조사 (Complete Survey)

     - 전체 대상을 조사하는 방법

     - 많은 비용과 시간 소요

     - 조사 과정 중 발생하게 되는 문제들로 인해 정확도가 떨어짐

     - 인구주택 총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