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관리사 2급 [프랜차이즈시스템] 프랜차이저, 프랜차이지란?
우리가 늘 입에 달고 사는 프랜차이즈 프랜차이즈~
길을 걸어가면서도 바로 만날 수 있는 점포들이 거의 프랜차이즈라고 할 수 있겠다.
바로 우리 집 1층에만 가도 GS편의점, GS더프래시, 메가커피, 파리바게트 등등 수두룩하다
대부분의 사업 경험이 없으신 분들이 사업을 하고자할 때 생각하는 게 프랜차이즈라고 한다.
아무래도 사업의 실패성도 적고, 브랜드파워가 있다보니 선택하는 것이 아닐까한다.
오늘 강의를 들으면서 귀에 정말 쏙쏙 들어왔지만, 실제 기출 문제를 풀어보니 말을 요상하게 바꿔놓아서 틀리긴 했다.
한 번 더 정리할겸 여기다 적어보련다.
1.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개념
- 프랜차이저가 프랜차이지에게 프랜차이저의 상호 및 상표, 노하우 및 운영방식을 사용하여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할 수 있도록 허가한 것이다
- 프랜차이즈 시스템은 본부가 프랜차이즈 계약에 의해 시장을 철저히 통제하며, 자본을 달리하는 독립된 사업자간 계약에 의해 기능을 분담하고 상호협력함으로써 직영점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
- 프랜차이지는 프랜차이저의 상호 등을 사용하는 권한을 갖기 위해서는 가입금, 보증금, 로열티 등을 지불해야 하고, 프랜차이저의 경영지도와 지원으로 양자 간의 계속적인 관계 유지가 목적이다
- 프렌차이즈형 체인사업이란, 독자적인 상품 또는 판매, 경영 기법을 개발한 체인본부가 상호 판매방법, 매장 운영 및 광고 방법 등을 결정학, 가맹점으로 하여금 그 결정과 지도에 따라 운영하도록 하는 형태
여기에서,
프랜차이저와 프랜차이지를 알아보도록 하자.
프랜차이저는 쉽게 말하면 가맹본부를 말한다.
그들이 가진 노하우를 프랜차이지에게 교육해 그들이 사업장을 오픈할 수 있도록 권한을 주는 곳을 의미한다.
프랜차이지는 프랜차이즈의 가맹점이다.
예를들면, BBx 인천xx점 등등 간판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그럼 이제, 프랜차이즈 가맹자에게 유리한 점과 불리한 점을 알아보겠다.
2. 프랜차이즈 가맹자에게 유리한 점
- 영업지식이나 경험이 없어도 가맹본부의 훈련이나 교육으로 인해 습득이 가능하다
- 비교적 적은 자본으로 사업을 개시할 수 있고, 독립한 기업주가 된다
-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유명 상호, 상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 점포의 입지선정, 실내외디자인, 종업원 교육, 장비 및 물품구입 등을 포함하여 전반적인 영업 운영상의 도움, 조언을 받을 수 있다
- 가맹본부가 실시하는 광고, 판촉 활동의 이익을 누릴 수 있다
- 가맹본부의 대량 구매로 인해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
- 유능하고 경험있는 가맹본부의 업무지도 등으로 사업 성공률이 높다
- 유리한 조건으로 자금 융자가 가능하다
- 가맹본부로부터 시장정보, 새로운 기법 등을 전수받을 수 있다
3. 프랜차이즈 가맹자에게 불리한 점
- 로열티 등 프랜차이즈 사용료를 정기적으로 지급하므로 정기적인 지출이 발생한다
- 타 가맹점의 실패로 인한 프랜차이즈 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
- 사업운영에 있어 가맹본부로부터 통제를 받는다 (갑을관계로 인한 주종관계 형성)
- 가맹본부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자신의 노력과 무관하게 가맹본부의 영업 실적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반대로,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에게 유리한 점과 불리한 점을 알아보자.
4.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에게 유리한 점
- 소규모 중앙조직으로 큰 위험부담 없이 이윤을 획득할 수 있다 (프랜차이즈 가맹점으로부터 정기적으로 프랜차이즈사용료 등 입금됨)
- 최소의 자금으로 사업확장이 가능하다
- 판매점포의 사원 관리 문제가 적어진다 (판매점포의 사원은 판매점포에서 직접 고용)
- 직접투자를 하지 않고도 자기 상호, 상표 등을 이용하는 가맹점과 계약함으로써 사업 확장이 가능하다
- 지역 시장에 밝은 자가 판매점을 관리한다
5.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에 불리한 점
- 가맹점과 의사소통의 문제가 발생해 서로 간 불신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 가맹점이 어느 정도 경험을 축적하면 독립하려고 하기에 충분히 대처를 해야한다
- 품질이나 서비스에 관한 기준 등이 준수되는지 감시해야 한다
- 시설 및 장비 등에 관해 프랜차이즈 가맹자와 의견 대립이 발생할 수 있다
- 가맹본부의 사업 유형과 맞는 프랜차이즈의 가맹주를 모집해야 한다
6. 프랜차이즈 종류
1) 직영점(Corporate Chain)
- 1호점이 직접 영업을 하면서 2호점, 3호점을 오픈하고 상품 공급 및 노하우 전수
- 가장 힘이 쎈 프랜차이즈
2) 마스터 프랜차이즈 : 다국적 프랜차이즈로 기업 확장하는 경우 (해외에 프랜차이즈를 냄)
3) 임의형 프랜차이즈(Volunary Chain)
- 협업, 공동사업 등의 키워드로 가맹점이 직접 경영에 참여하는 것
- 가맹점 간에 협업에 의해 가맹점의 취급 품목, 영업 방식 등을 표준화하여 가맹점들의 공동화 효과를 누려 비용 효율적인 사업을 지원
- 각자가 힘이 강해지는 임의형/임의가맹점형
4) 조합형 체인사업 : 동일업종 소매점들이 협동조합법 및 규정에 따라 협동조합을 설립하는 것으로, 도매상이 아닌 소매상이 주체가 되어 체인 결정
식구 중에도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하고 있는데, 교육도 다 해주고 매장 인테리어, 설비 등을 다 지원받아도 사실 맘에 들지 않는 부분이 있다고 들었다. 식재료의 상태가 좋지 않을 때도 있었다고 들었고, 매월 고정 지출이 사실 만만치 않을 때도 있다고 한다. 매일 장사가 잘 되면 좋지만 그렇지 못할 때도 많으니 부담스러운 건 사실일 것이다.
WIN-WIN프로젝트랄까,,
서로 잘 맞추어가면서 비즈니스를 하면 좋으련만, 그게 어디 쉬운 일이랴~
우선 갑을 관계가 형성이 되기 때문에 사실 쉽지만은 않을 것 같기도 하다.
이렇게 또 프랜차이즈의 개념과 장단점을 배워보았다.
정리를 하면서 머릿속에 쏘옥 넣어보자!
내일도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