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통관리사2급

유통관리사 2급 [점포관리와 상품진열]

[인스토어 머천다이징]

소비자들의 구매의욕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행동

적절한 상품 준비 및 연출 등을 통해 소비자의 상기구매, 연관구매, 충동구매 유도 활동

점포의 개별 상품 및 구성을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소비자에게 제시함으로써 자본 및 노동의 생산성을 최대화하려는 행동

 

[쇼윈도]

매장 외관을 결정 짓는 요소이며 주된 연출 공간

수평라인보다 돌출 또는 들어가는 각진형은 소비자를 입구쪽으로 유도

윈도우가 없으면 궁금해진 소비자가 매장으로 들어오는 효과 발생

윈도우 설치에 따라 폐쇄형, 반개방형, 개방형, 섀도우 박스로 나뉨

 

[점포 레이아웃]

1. 레이아웃 의사 결정 순서 

  상품 배치 결정 - 고객 동선 결정 - 판매 방법 결정 - 진열용 가구 배치

2. 매장 레이아웃

  1) 플래노그램 : 점포 내 제품에 대한 진열공간의 생산성 평가시의 수단

  2) 격자형배치

    - 기둥이 많고 기둥 간격이 좁은 상태에서도 설치의 비용 절감 가능

    - 통로폭이 동일해 건물 전체의 필요 면적이 최소화 됨

    - 소비자들이 점포 내의 전체 제품에 노출되지 않는 문제점

    - 대다수의 슈퍼마켓, 셀프서비스 점포에서 활용

    - 타배치에 비해 판매공간 활용 효과적

    - 소비자들의 이동 동선이 제한됨

    - 주동선, 보조동선, 순환통로, 설비표준화로 비용절감

3) 루프형 = 부띠끄형, 경주로형

    - 백화점에 적합

    - 사각, 원, 타원으로 배치해서 점포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함

    - 진열된 상품을 소비자들에게 최대한도로 노출 가능

    - 격자형보다 조금 융통성 있는 레이아웃

    - 굴곡 통로로 고리처럼 연결되어 점포의 내부가 경주로처럼 뻗어나간 레이아웃

4) 프리플로형

    - 완전 자유형, 비대칭적 배치

    - 격자형에 비해 공간 생산성이 낮음

    - 소비자들이 가장 편안하게 둘러볼 수 있도록 배치

    - 충동구매 유발에 적합

    - 소규모 전문매장 또는 여러 개의 점포들이 있는 대형 점포에서 주로 활용

 

[점포관리]

- 간판 중에서 돌출 간판은 허가를 받아야 하며 기타 부착용 간판은 신고필

- 진열장, 캐비닛, 선반 등은 집기, 금전등록기, 손수레 등은 장비에 포함

- 점포의 조명은 너무 밟으면 주의가 산만해져 구매의욕이 상실될 가능성이 크므로 적절한 스포트라이트 활용

- 점포 상호는 단시간 내에 점포 특성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하며 너무 길지 말아야 함

- 쇼윈도우의 형태를 완전개방형, 반개방형, 완전폐쇄형으로 구분할 때 고급스러운 분위기로 유리한 것은 반개방형

 

[대표적인 조직 편성 유형]

1. 라인조직 : 명령계통은 명확하지만 각 관리자는 부하에 대해 전면적인 책임과 지휘

2. 기능조직 : 관리자가 전문적 기능에 따라 관리하는 것이나 명령계통의 혼란이나 책임의 소재가 확실하지 않은 단점

3. 라인-스태프조직 : 전문적 기능을 살리고 명령 계통을 확실하게 함

                                  스태프란 집행할 권한은 갖지 못하나 라인에 전문적 입장에서 조언이나 협력하는 것

 

[상품의 진열방식]

1. 샌드위치 진열방식 : 잘 팔리는 제품 옆에 이익은 높지만 잘 팔리지 않는 제품을 진열해 판매를 촉진하는 방식

                                     무형의 광고효고가 있어 진열대 내에서 사각공간을 무력화 시키는 효율 높은 진열방식

2. 섬진열방식 : 점포 빈 공간에 박스를 활용하여 섬과 같은 형태로 만든 대량 진열 방식

                         신제품 출시 등에 가장 효과적

                         무인판매 수단으로도 활용 (키오스크)

                         주통로와 인접한 곳 또는 통로 사이에 징검다리처럼 쌓아두는 진열방식으로 주로 기획상품에 활용

3. 점블방식 : 깨끗하지 못한 느낌, 흐트러진 느낌을 진열해서 할인행사 진행을 연상시켜 소비자들의 시선을 잡는 방식

                     스낵류, 즉석식품류, 통조림류에서 자주 활용되는 형태로써 임의적으로 제품을 무질서하게 진열

                     철제 바구니 등 진열 집기를 이용하며 칫솔, 통조림, 과자 모음 등

4. 후크진열방식 : 소비자들의 시선에 잘 띄거나 얇거나 가벼운 제품 등의 진열 시 활용

                             USB, 건전지 등 걸어두고 판매하는 것

 

[앤드매대]

3면에서 고객이 상품을 볼 수 있어 가장 눈에 잘 띄는 진열방식으로 가장 많이 팔리는 상품들을 진열할 때 사용

제품을 주기적으로 교체하여 양감 및 계절감 표현

소비자들의 관심 제품을 곤돌라에 진열해 주 판매대인 곤돌라로 유인

인지도가 높은 제품을 진열해 소비자들이 점포 내를 회유하도록 유인

광고상품, 전단, 행사상품 등을 진열해서 판매촉진 수단으로 활용

- 엔드매대에 진열할 상품을 선정하기 위한 점검사항

   1) 주력 판매 가능한 상품의 여부

   2) 시즌에 적합한 상품의 여부

   3) 대량 판매가 가능한 상품의 여부

   4) 신제품 또는 인기 상품의 여부

 

[머천다이징, 비주얼프레젠테이션 VP]

1. 머천다이징이란?

   상품화 계획 또는 상품 기획으로 적절한 제품이나 시기, 장소, 가격, 수량으로 판매하기 위한 일종의 계획적인 활동

 

2. POP광고 상품의 구매를 자극 촉진하여 의사결정을 도와주고 기업과 소비자간 만족을 충족시켜 주는 역할

   1) 특징

      - 소비자들의 충동구매 유발

      - 구매시점에 또 다른 프로모션 활동 강화

      - 셀프서비스 매장에서 가장 좋은 수단

      - 판매원의 도움을 대신해 상품의 정보를 알려주고 셀프판매 가능

      - 매장의 행사 분위기를 살려 상품 판매의 최종 단계까지 연결

      - 찾고자하는 매장 및 제품을 안내해 고객이 빠르고 편리하게 쇼핑 가능

      - 계절적인 특성을 살려 전체적인 분위기 연출에 효과적

      - 계산대 옆 설치로 각종 정보 및 이벤트 안내에 효과적

 

3. VMD의 구성요소

  1) VP(Visual Presentation) : 점포의 콘셉트를 표현하기 위한 점포 토탈 이미지화 작업

  2) PP(Point of sale Presentation) : 제품 진열 계획에 있어서의 포인트 전략

                                                         소비자들의 시선이 머무르는 곳에 볼거리 제공

                                                         소비자들이 해당 쇼핑몰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유도

  3) IP(Item Presentation) : 제품에 대한 신선항 정보의 지속적 제공 및 판매 촉진을 도모하는 작업